꼬챙이닷컴

[스크랩] 그래픽카드 불량 테스트 방법을 보다 확실히 하자.

꼬챙이.com 2014. 9. 22. 12:59

대부분의 컴퓨터 수리회사들은 소비자가 이런 프로그램을 쓰는 것을 달가워 하지 않습니다.

 

 

ㅎㅎ 저희야 정직이 목표니...

 

 

 

자 이제 사용법을 통하여 긴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첨부파일도 두가지를 준비했습니다.

 

 

하나는 그래픽 카드의 사양과 발열도, 또한 정상적인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발휘하는가를 테스트 할 수 있는 GPU-Z

 

또하나는 그래픽 카드의 GPU칩 (메인 3D 칩이죠) 이 부분의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OCCT-GPU

 

 

GPU-Z.0.7.7.exe

 

 

OCCT-GPU.exe

 

 

D3DX9_37.dll

 

 

 

그래픽 테스트 하는데 왜 2가지 프로그램이 필요할까요?

 

 

둘다 동시에 필요한건 아닙니다.

 

 

용도가 틀리기 때문입니다.

 

 

 

임을 하는 도중 갑자기 화면이 멈추거나 전원이 꺼지는 경우는 GPU-Z와 OCCT-GPU를 동시에 테스트 하는것이 합당하며 화면이 깨지는 경우는 GPU-Z만으로 잡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OCCT-GPU를 설명하겠습니다.

일부 사이트에 OCCT-GPU테스를 대략적으로 설명해 놓은 블로거나 카페가 많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환경과 맞게 테스트 하는 방법을 적어놓지는 않았습니다.

 

자신의 환경과 맞추어 테스트를 해야 보다 정확하게 성능과 불량을 찾아 낼 수 있습니다.

 

첨부한 OCCT-GPU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이트에서는 이상테에서 위의 FullScreen 과 Errror Check 만 체크를 하고 GO를 눌러 테스트 하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확한 환경을 테스트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조건을 맞추고 테스트해야 비로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시작버튼-제어판-디스플레이-화면해상도를 보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파란색 네모칸이 쳐져 있는 부분이 자신의 모니터에 맞게 설정된 최적 해상도 입니다.

최적 해상도라고 하기보다는 자신이 지금 쓰고있는 주 해상도라 해야 맞겠지요.

 

이를 적어 둡니다.

 

또 빨간색 네모로 쳐진 부분의 '고급설정'을 눌러보시면

 

아래 부분이 나옵니다.

 

 

 

자신의 그래픽 카드가 모니터에 쏘아주고있는 화면 재생빈도를 보여주는 항목입니다.

60HZ라고 적혀있군요..

 

자 이를 OCCT-GPU에 순차적으로 적어 넣어 보겠습니다.

또한 테스트 할 부분까지 체크를 하겠습니다.

 

 

 

위에서 적어놓은 값을 넣은 부분이 보이시죠?

그런데 마지막 Shader Complexity 는 멀까요?

Shader라고 건 설명하자면 여러가지 전문적인 용어가 나와야 하기때문에 함축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사물의 윤곽과 질감을 좀더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기능인데요..

 

쉐이더는 픽셀 쉐이더,버텍스쉐이더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픽셀쉐이더는 실감나는 화면구성을 위해 옷을 입혀주는 방식

버텍스쉐이더는 웨이브 효과와 같은 자연스러운 그래픽 처리를 해주는 방식입니다.

 

좋은 그래픽 카드 일수록 이 쉐이드 값이 좋겠죠?

 

이 수치는 최상수치로 놓코 테스트 하시면 됩니다.

 

다 설정 되셨으면 GO 버튼을 눌러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마치 게임을 하고있는 것처럼 그래픽 카드에 부하를 주어서 테스트를 하는 부분입니다.

 

평균 10~20분 정도 테스트하는게 정석입니다.

 

테스트 하다보면

상단부의 수치가 올라가는게 보이실텐데요..

 

 

이부분의 수치중 중요한것은 Errors 부분입니다. 이부분에 수치가 0이 나닌 다른 숫자가 나온다면

그래픽카드의 메인 칩인 GPU 칩이 불량 인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실행해도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며 실행이 안된다고 하소연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PC에 DirectX 가 설치되지 않아 3D 가속 능력을 사용할 수 없어 발생합니다.

 

첨부된 파일에 d3dx9_37.dll 파일이 있으니

이파일을 C:\WINDOWS\SYSTEM32 폴더안에 복사해 넣으시고

다시 실행하시면 정상 테스트 됩니다.

 

 

 

다음은 GPU-Z 테스트 방법입니다.

 

GPU-Z는 그래픽 카드의 전반적인 내용을 볼수 있으며

버전에 따라 그래픽 카드의 성능도 테스트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첨부된 GPU-Z를 실행시키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 그래픽 카드가 GTX 550TI 라는 그래픽 카드 입니다.

대략적인 설명들이 나오는데 이를 다 설명드리긴 힘들듯 하군요..

필요하시다면 리플 달아주시면 설명드리겠습니다.

 

소위 벌크 그래픽카드.. 라고 불리우는 저렴하게 만든 그래픽 카드들은

정가의정상적 그래픽 카드보다는 여러가지면에서 하나씩 빠져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그래픽 카드가 정상적인 제품인지 확인하기 위에서는 이 페이지 맨 하단부에 첨부환 도표를 보시고

 GPU-Z와 표시된 값을 비교하시면 됩니다.

 

자 테스트를 해봅시다.

 

위의 그림에서 아래 그림에 두부분을 잘 적어둡니다.

 

 

GPU칩의 클럭수와 메모리의 속도 Shader 속도까지 세부분의 숫자를 적어둡니다.

 

그리고 위에탭에 Sensor탭을 누르면

 

테스트를 시작하는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시작한 화면입니다.

 

이중에서 상단의 세개의 수치가 아까적어놓은 수치가 초기 스타트시 같은지를 확인합니다.

 

 

 

이 수치는 테스트 하는 과정중 그래픽 카드의 성능에서 쓰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고

 

수치는 떨어집니다.

게임을 돌리면 다시 올라가게 되죠..

그냥 테스트를 하게되면  아래처럼 수치는 낮아집니다.

 

 

 

수치의 초기수치확인이 끝나셨으면 진짜 중요한 부분은 다른 곳에 있습니다.

 

 

 

 

GPU Temperature는 GPU칩의 온도를 나타내는데요.. 정상화면상태에서는 40~50사이가 적절합니다.

게임하는 상태에서는 상당히 올라가게 되는데요..

그래서 Fan Speed가 올라가는 제품이 많습니다.

팬의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죠..

 

FAN SPEED가 3~40% 보다 밑으로 떨어진다면

팬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심해 도는 속도가 저하되었거나..

팬이 불량화 되어 속도가 떨어지는 것이죠..

0%로 되어 있다면 팬이 멈추어 있는 경우니 ...당연히 게임도중 과열로 전원이 꺼지게 되거나

화면이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VDDC는 그래픽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표시하는것인데요..

그옆에 측정한 그래프가 불규칙적으로 심하게 요동친다면..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전원이 꺼지는 증상을 유발하거나

그래픽 카드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고성능의 파워로 교체해주거나

보조전원 6핀이 없는 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신다면 메인보드도 점검해보셔야 하는 것입니다.

 

 

위의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신다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그래픽카드의 손상도를 어느정도는 체크하실 수 있습니다.

 

 

보다 궁금한 사항은 테스트해보시고 리플 달아주시면 빠른 답변드리겠습니다.

 

 

그래픽 카드별 제원표

 

 

 

 

 

 

출처 : 컴사상
글쓴이 : 컴사상 원글보기
메모 :

'꼬챙이닷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갈비꼬챙이  (0) 2015.10.01
바베큐꼬챙이를 만들자  (0) 2015.07.12
[스크랩] 구이기용 철판숯통  (0) 2014.01.12
[스크랩] 구이기용 숯통  (0) 2014.01.12
[스크랩] 구이기용 숯통 (철숯통)  (0) 2014.01.12